전체 글19 레버리지 ETF, 과연 위험한가? 미국 주식이 각광을 받기 시작하면서 레버리지 ETF에 투자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올해 초부터 나스닥을 비롯한 미국 증시의 주요 지수가 하락하면서 레버리지 ETF에 대한 경고가 여러 언론을 통해 쏟아지고 있습니다. 레버리지 ETF가 정말 위험한 것인지, 위험하다면 왜 위험한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레버리지란? 레버리지(leverage)라는 말은 '지렛대'라는 뜻을 갖고 있습니다. 지렛대를 이용하면 실제 힘보다 몇 배나 더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릴 수 있듯이 대출 등의 수단을 동원하여 실제 내 자산에 비해 훨씬 높은 이익을 올릴 수 있는 효과를 '레버리지 효과'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내 자산 100만원을 투자하여 수익률 10%를 실현하면 수익금이 10만원이 됩니다. 만약 내 자산 10.. 2022. 3. 18. 하락장에서의 멘탈 관리 TIP 1월부터 시작한 하락세 이후로 찾아온 횡보가 계속되면서 개인 투자자들의 신음이 여기저기서 들리고 있습니다. 이제 다시 주식을 쳐다도 안보겠다는 분, 주식 유튜버들을 비난하는 댓글을 작성하는 분 등등 투자자들의 인내심이 바닥을 보이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이런 현상이 주식 시장에서 바닥이 왔음을 알리는 신호라고 생각합니다) 주식 투자 경력이 꽤 되신 분들이라면 모르겠지만 주식 투자를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으신 분들은 주식 시장을 떠나기도 합니다. 이럴 때일수록 자기 최면을 걸고 버텨야 합니다. 이번에는 흔들리는 주식 시장에서 흔들리는 멘탈을 다잡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하락과 친구가 되자 주식이 언제나 오를 수는 없습니다. 상승이 있으면 하락이 있는 법이죠. 최근 수익률이 좋은 펀드가 가입률이.. 2022. 2. 21. 환헷지에 대해 정확히 알아봅시다 저번에는 헷지에 대해 설명을 했었습니다. 저처럼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분들은 환헷지에 대해서도 알아두시는게 좋은데요. 환율은 달러로 투자하는 미국 주식 투자자에게 있어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기 때문입니다. 이번시간에는 환헷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환헷지란? 환헷지란 환율을 헷지(Hedge)해준다는 의미입니다. 미리 정해놓은 환율로 거래를 할 수 있게 보험을 들어 놓는 것이죠.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환율이 1달러당 1,000원이라고 가정했을 때, 100달러만큼 환전하여 주식을 매수했습니다(총 10만원). 주가의 변동은 고려하지 않기로 합니다. 그 후 환율이 상승하여 1달러당 1,200원이 되었다면, 100달러만큼 매수했던 주식의 총 평가금액은 12만원이 됩니다. 총 2만원의 환차익이 발생.. 2022. 2. 15. 하락장에서도 돈을 버는 헷지(feat. 선물, 옵션) 주식 뉴스를 보면 헷지, 선물, 옵션이라는 말이 자주 등장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헷지와 선물, 옵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헷지(Hedge)란? hedge의 사전적 의미는 1. 생울타리, 산울타리 2. (특히 금전 손실을 막기 위한) 대비책 으로, 주식 시장에서는 2번의 의미로 주로 쓰입니다. 특정 상품을 통해 발생할 손실의 가능성을 다른 상품을 통해 줄이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헷지의 대표적인 파생상품으로는 선물과 옵션이 있습니다. 많이 들어보셨죠? 선물과 옵션을 흔히들 패가망신의 지름길이라고 하죠. 왜 패가망신의 지름길이라고 하는 걸까요? 파생상품 선물과 옵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파생상품을 아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가 흔히 투자하는 삼성전자, 카카오와 같은 개별주식(현물), 그리고 상.. 2022. 2. 14.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