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미국 증시 하락의 원인
나스닥이 고점 대비 10% 하락하면서 본격적인 조정 국면에 진입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월스트리트 저널에서는 나스닥이 고점 대비 10% 하락하면 조정 국면으로 간주합니다.
이렇게 하락이 일어나게 된 원인은 먼저 미국 중앙 은행인 Fed의 금리 인상 정책때문입니다.
Fed는 인플레이션을 해소하기 위해 금리 인상을 피할 수 없다면서
올해 여러 차례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을 예고했습니다.
이러한 금리 인상은 작년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인해 많은 돈이 시장에 풀렸기 때문에 어느 정도 예상을 하고 있었던 부분입니다. 게다가 미국의 소비자 물가지수인 CPI가 7.0%로 집계되면서 40년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습니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 바이든 대통령이 인플레이션을 통제해야 한다면서 Fed의 긴축 행보에 힘을 실어 주었습니다.
이에 따라 예상보다 높을 것 같은 Fed의 긴축 강도에 대한 우려가 심화되면서(테이퍼링의 조기 종료 가능성, 기준금리가 0.25%포인트가 아닌 0.50%포인트 상향될 가능성 등) 투자자들의 매도세가 어제 장 후반부에 강해지면서 전체적인 하락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엔비디아(-3.23%), 애플(-2.10%), 아마존(-1.65%), 테슬라(-3.38%)등 대형 기술주들이 하락세를 주도했습니다.
이러한 조정 국면에서의 하락세가 언제쯤 끝날지가 관건입니다. 하지만 그 시점은 정확히 예측하기가 힘듭니다.
그래서 과거의 경험으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위 차트는 1971년부터 나스닥이 66번 조정 국면에 진입했던 데이터입니다.
보시다시피 조정 국면에 진입하고 3개월부터 본격적으로 회복하기 시작했습니다.
제가 저번 포스팅에서 말씀드렸던 최소 1년 버티기는 이 자료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습니다.
물론 이번에는 다를 수 있을 수도 있겠지만
과거의 수많은 데이터는 앞으로의 예측에 많은 도움이 된다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습니다.
2. 기술주의 비중을 줄여야할까?
그렇다면 금리에 민감한 기술주의 비중을 줄여야 할지 의문이 드실겁니다.
하지만 돈을 잘 벌어들이고 있는 퀄컴, AMD, 아마존 등 미국 대표 13개 종목을 보면 여전히 상승여력이 높습니다.
이런 효자 종목을 굳이 지금 매도할 이유가 없습니다.
"더 하락할 것 같으니까 지금 매도하고 더 낮은 가격에 살래"라는 생각에 매도하는 사람들도 있을겁니다.
하지만 더 낮은 가격, 즉 바닥이 어디인지 정확하게 알 수 있을까요?
그걸 알면 벌써 워렌 버핏보다 더 부자가 되어 있을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주가가 하락한 지금, 기술주 주식을 매도하기보다는 매력적인 저렴한 가격에 추가 매수를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현금 보유는 필수라고 계속 잔소리 수준으로 말씀드리고 있습니다.
3. 지켜야 할 투자 원칙
개미들이 이런 하락장에서 하는 실수가 있습니다.
이제 금리가 인상하니 은행 관련 주식을 매수한다든지, 국제 유가가 치솟으니 유가 관련 주식을 매수한다든지의
갈아타기가 그런 실수입니다.
섣부른 갈아타기보다는 투자 원칙에 중심을 두고 흔들리지 않아야 합니다.
흔들리지 않겠다고 다짐해도 마이너스가 된 주식 잔고를 보면 머리가 뜨거워 질 겁니다.
하지만 내 주식은 반드시 오른다는 믿음을 갖고 머리는 차갑게, 가슴은 뜨겁게 유지해야 합니다.
그리고 하락장이 계속 될 때마다 보유하고 있던 현금으로 분할매수를 해서 평단가를 낮춰야 합니다.
주식을 하시는 분이라면 이정도는 다들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아는 것과 달리 실천하는 것은 쉽지가 않아서 어느새 매도 버튼에 손이 가 있는 자기 자신을 보게 됩니다.
"나는 워렌 버핏이다"라고 되뇌면서 계속적인 자기 암시로 투자 고수가 되어야 합니다.
4. 앞으로의 전망
개가 짖어도 기차는 간다는 말이 있습니다.
금리가 오르든, 변이 바이러스가 계속 출현하든 반도체는 갈 길을 갈 것입니다.
반도체 없는 세상, 상상이 되시나요?
어쩌면 지금 SOXL을 비롯한 기술주들은 블랙 프라이 데이처럼 세일 구간일지도 모릅니다.
현금 보유를 하고 계시다면 절호의 기회로 삼으시길 당부드립니다.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의 선택에 달려있습니다-
'미국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스닥 롤러코스터, 반등 시작인가?(feat. 하락론자) (0) | 2022.01.25 |
---|---|
주식 예수금, 증거금, 반대매매 등 총정리!! (0) | 2022.01.25 |
미국 주식 달러 주문과 원화 주문 비교 (0) | 2022.01.24 |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원칙 (0) | 2022.01.19 |
SOXL을 적극적으로 매수해야 하는 이유 (0) | 2022.01.17 |
댓글